SweetAlert2는 단순 팝업을 넘어서 서버 요청, 사용자 입력, 토스트 알림 등 다양한 실무 상황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Fetch API 연동, 입력폼 처리, Toast 알림 만들기 등 자주 쓰이는 패턴을 정리했습니다. 실제 프로젝트에서도 바로 적용 가능한 코드 예제와 함께 소개합니다.
👉 SweetAlert2 공식 웹페이지 보러가기
Fetch API와 연동하기
👉 상세 가이드는 별도 글: SweetAlert2와 Fetch API 연동|사용자 입력 후 서버 요청 처리 예제
Swal.fire({
title: '이메일을 입력하세요',
input: 'email',
showCancelButton: true,
confirmButtonText: '전송'
}).then((result) => {
if (result.isConfirmed) {
fetch('/api/subscribe', {
method: 'POST',
headers: { 'Content-Type': 'application/json' },
body: JSON.stringify({ email: result.value })
})
.then(() => Swal.fire('구독 완료!', '', 'success'))
.catch(() => Swal.fire('실패했습니다.', '', 'error'));
}
});
JavaScript- 사용자 입력값 → 서버로 전송
- Fetch API와 결합해 구독, 등록, 로그인 등 실무 처리 가능
사용자 입력값 받아오기
👉 상세 가이드는 별도 글: SweetAlert2에서 입력값 받아오기|사용자 입력 처리 방법과 예제
Swal.fire({
title: '닉네임을 입력하세요',
input: 'text',
inputPlaceholder: '예: 코코글로',
showCancelButton: true
}).then((result) => {
if (result.value) {
Swal.fire(`입력한 닉네임: ${result.value}`);
}
});
JavaScriptinput: 'text', 'email', 'password', 'textarea'
등 다양한 타입 지원- 입력값을 그대로 확인창에 표시하거나 서버와 연동 가능
Toast 알림 만들기
👉 상세 가이드는 별도 글: SweetAlert2로 예쁜 Toast 알림 만들기|간단한 JS 코드 예제 포함
const Toast = Swal.mixin({
toast: true,
position: 'top-end',
showConfirmButton: false,
timer: 2000,
timerProgressBar: true
});
Toast.fire({
icon: 'success',
title: '저장되었습니다!'
});
JavaScript- 상단/하단 위치 지정 가능
toast: true
옵션으로 미니 알림창 구현- 알림성 메시지, 상태 피드백에 최적화
SweetAlert2 실무 활용 포인트
- 입력값 → 서버 전송 → 응답 결과 팝업으로 표시
- 로그인/회원가입/구독 폼에 적용하면 UX 개선
- Toast 알림으로 로직 완료 피드백 제공
- 비동기 API 요청과 결합하면 더욱 강력
마무리
SweetAlert2는 단순한 알림창을 넘어 실무형 UI/UX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특히 사용자 입력 → 서버 요청 → 결과 피드백 흐름은 대부분의 웹 서비스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패턴입니다.
이 글에서 소개한 예제들을 활용하면 프로젝트에서 더 직관적이고 세련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